탐구형 독서
탐구형 독서는 호기심에 이끌려 책을 읽는 유형입니다. 활자중독형이 방사형 독서를 한다면 탐구형은 선형 독서를 한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국내 최연소 박사인 송유근 씨는 어린 시절 바람을 무척 신기해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한동안 바람을 다룬 책만 읽었다고 합니다. 바람에 관한 책을 읽다 보니 이번엔 바람의 힘을 이용한 요트나 돛단배가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요트나 돛단배를 다룬 책들을 읽었고, 항해술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다고 합니다. 탐구형은 이런 식으로 호기심을 쫓아가져 책을 읽습니다. 독서를 통해 호기심을 충족하는 과정에서 지식이 쌓이고, 지식이 쌓이는 과정에서 다시 호기심이 생기는 것입니다. 독서 방식 자체가 지식의 구조와 꼭 닮아있는 유형입니다.
탐구형은 공격적인 돌서를 한다고 합니다. 책을 읽는 원동력이 호기심이기 때문에 책을 읽는 내내 왜와 어떻게 라는 질문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 유형입니다. 이렇게 적극적으로 질문을 던지기 때문에 책을 읽는 동안 발생하는 사고의 양이 많고, 책ㄷ 속의 지식도 깊이 흡수합니다. 책 한권 한권의, 독서 효과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또 탐구형은 종종 본인의 언언능력을 몇 단계 뛰어넘는 책을 읽는 괴력을 발휘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현대 기계 문명은 어떻게 시작됐을까라는 호기심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아이는 어린이책을 통해 기계 문명은 제임스 와트가 증기기관을 만들면서 시작되었다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에 이것만으로는 호기심이 풀리지 않습니다. 책을 읽는 과정에서 제임스 와트 말고도 수많은 사람이 증기기관 발명에 도전했다는 사실을 알게 될 테고, 그 사실에 의문을 품을 지도 모릅니다. 그전에는 아무도 만들지 않던 증기기관을 왜 하필 그때 여러 사람이 만들려고 했을까라는 의문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렇게 의문을 쫓다 보면 아이는 결국 어린이책의 경계선을 넘게 됩니다.
자신의 언어능력으로는 감당이 안 되는 책에 손을 대게 되는 것입니다. 청소년용 도서, 심한 경우 성인용 도서까지 독서 지평이 넓어지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아이는 또래의 수준의 뛰어넘는 언어능력과 지식, 지식을 습득하는 능력을 키우게 됩니다. 이것만으로도 아이는 교 과 학습 정도는 우습게 해치울 수 있는 능력자가 되는 것입니다. 만약 아이의 호기심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계속 이어진다면 결과적으로 활자중독형과 마찬가지로 전 분야의 지식을 폭넓고도 깊게 쌓게 될 것입니다.
사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독서 이력을 본다는 것은 탐구형 독서가의 선형 독서, 다시 말해서 독서 목록을 통해 아이의 지점 호기심이 어떤 궤적을 그리고 있는가를 보겠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보통 고등학생 필독서 위조로 독서 이력을 작성하게 됩니다. 그래서 서울대학교의 입학처장이 매년 추천도서를 얼마나 많이 읽었느냐를 보려고 하는게 아니라 학생의 지적 여정을 보려는 것이라는 말을 강조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