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의 방법

전집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볼게요

스모사우루스 2020. 12. 14. 18:24

'니 나이에는 과학도 같이 알아야 해. 그래야 학교 가면 공부를 더 잘할 수 있어.'

이런 말이 어린아이의 마음에 와닿을 리는 절대 없습니다. 그런데도 아이가 꾹 참고 책을 읽는 것은 그것을 부모님이 원하기 때문입니다. 부모님의 사랑과 칭찬을 받고 싶다는 마음이 비자발적 독서를 추진하게 되는 힘이 되버리고 마는 것입니다. 전집 읽기는 학교 공부와 아주 비슷합니다. 전집이 그렇듯 학교 공부 역시 1년간 읽고 이애해야 할 교과서라는 책이 아이의 의사와 상관없이 정해지고, 그 교과의 내용은 연령대에 맞게 반드시 숙지해야 하는 식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아이는 전집을 정말 재미있게 읽어요'라는 부모님이 많다고 합니다. 실제로 미취학 아동 중에 전집을 잘 읽는 아이도 많습니다. 하지만 전집을 기본틀로 한 독서는 지속되기가 힘듭니다. 전집 독서는 본질적으로 공부의 성격을 띠기 때문에 학습이 본격화되는 초등학교 중학년이 되면 책 읽기에서 손을 놓게 됩니다. 학습은 학교와 학원에서 이미 충분히 하고 있기 때문에, 거기에 책까지 읽을 필요를 느끼지 못합니다. 공부에 공부를 더하는 억울한 일이 되버리기 때문입니다. 

이야기책은 재미는 있지만 지식이 없기 때문에 불필요하다고 느낍니다. 게다가 이야기책보다는 재미있는게 주위에 널려 있는데 굳이 이야기책으로 여가시간을 보낼 이유도 없습니다. 부모님이 책을 읽으라고 강요하면 후다닥 속독으로 읽어버리고 맙니다. 때로는 부모님이 강요하지 않아도 읽습니다. 책을 읽으면 부모님의 잔소리를 피할 수 있고, 잘하면 칭찬도 받을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미 실질적으로는 독서를 하지 않는 상태로 접어든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부모님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학년이 오를수록 아이가 책을 읽지 않으려고 하니 독서 지도가 너무 힙듭니다. 그렇다고 이야기책을 일히자니 지식이 없어서 불필요한 것 같고, 지식도서를 읽히려니 아이가 극렬히 저항을 합니다. 기껏 힘들게 읽혀봐야 아이가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기억하는 지식도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대용으로 선택하게 되는 것이 학습만화 입니다. 독서는 합습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오히려 학습만화가 지식도서보다 더 나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일단 아이가 재미있어하면서 읽고, 일고나면 전문용어를 써가며 아는 척을 합니다. 그러면 뭔가 똑똑해진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학습만화는 책을 읽히고 싶은 부모님과 책을 읽기 싫은 아이와 책을 팔고 싶은 출판사의 삼자담합의 결과물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습만화 탐독까지 가면 아이의 독서가로서의 삶은 끝났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학습만화는 얄팍한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모르는 것을 안다고 착각하게 만듭니다. 다 안다는 오만함이 아이의 마음속에 자리잡게 됐다는 것은 호기심이 사라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호기심이 사라지면 지식도서를 찾을 일도 사라지는 것과 똑같습니다. 또 그림 기반의 학습만화에 몰두하면 글자를 읽는 것이 번거롭고 힘들게 느껴지게 됩니다. 호기심이 사라지고, 글자를 일기 힘들게 됐다는 것이 무슨 의미일까요? 아이의 독서인생이 끝났다는 것을 뜻합니다. 

 

모든 독서교육 실패 사례가 위와 같은 경로를 따르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원리적으로는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독서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아이를 독서가로 키우는 것입니다. 책을 좋아하는 아이, 책을 사랑하는 아이로 키우는 것입니다. 그러려면 두가지 독서 생활의 대원칙이 필요합니다. 

 

 

첫번째의 대원칙은 바로 재미입니다. 초등학생이든 청소년이든 이 책이 아이의 지식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하는 생각은 아예 지워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 목표의식이 끼어들면 들수록 독서는 학교 공부를 닯아갑니다. 독서가 학교 공부를 닮아가는 순간, 독서교육은 페업의 길로 접어든 것이나 마찬가지 입니다. 

 

두번째의 대원칙은 바로 독서가 최우선입니다. 아이의 교육에 있어서 독서를 맨 앞자리에 놓아 두어야 합니다. 어학은 어려서부터 하는 것이 좋다고들 합니다. 하지만 아주 어린 시절부터 영어학원에 다닌다고 해서 아이가 원어민 수준이 되는 것은 아니비다. 어차피 영어는 외국어라 한국말처럼 자연스럽게 배울수가 없습니다. 결국 아이가 학습해야 합니다. 평균 이상의 공부머리만 갖춘다면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생부터 시작해도 늦지 않습니다. 수학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굳이 학원에 보내서 시간과 돈, 에너지를 낭비할 필요가 없습니다.